생각
긍정의 힘이란
누미
2011. 8. 19. 02:15
TV채널을 돌리다 한 케이블 증권방송의 자막이 스쳐지나갔다.
대충 "긍정의 힘을 믿고 투자할 시기" 정도의 내용이었다.
긍정의 힘이란 말이 또 다시 저런 식으로 오용되고 있음을 보고 있으니 헛웃음이 나왔다. 긍정의 힘은 다단계 교재스러운 뜬구름 잡는 자기계발서들로 인해 잘못된 개념으로 알려져 있는 듯 하다.
긍정의 힘은 막연히 잘 될거란 생각만으로 일이 잘되는게 아니다. 할 수 있다는 희망이 중요한 이유는 더 끈질지게 노력할 정신적 기반을 마련해 준다는데 있다.
가장 현실적인 예는 마라톤 기록이다. 불과 백여년 전만 하더라도 인간은 2시간30분 이내에 마라톤을 완주할 수 없다는 믿음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최초로 2시간 30분의 벽을 깬 선수가 등장했고, 현재는 2시간 30분 안에 들어오지 못하하는 선수는 상위권에 랭크될 수 없을 정도로 기록은 단축되었다. 인간의 신체가 백년동안 엄청난 진화를 했을리는 없다. 그리고 세계의 인구 증가를 고려하더라도 현재 2시간 30분 이내에 완주하는 선수의 비율은 너무 크게 높아졌다. 깰 수 없을 것이라는 기록을 깬 선수가 등장하자 다른 선수들도 그 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목표를 높게 잡아 열심히 연습을 했기 때문에 가능한 성과였다.
얼마 전에 즐겨 찾는 블로그의 글을 보고 느낀 바가 있었다.
한 면을 굽는데 10분이 걸리는 스테이크 불판이 2개 있다. 스테이크 3개를 굽는데 걸리는 최소시간 및 그 방법은 무엇인가 라는 물음이 있었다. 단순 계산으로 노는 불판이 없다면 최소시간은 30분이라 짐작할 수는 있었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바로 생각나지 않았다. 그냥 그 정도에서 생각을 접으려고 했다. 글쓴이는 그 문제는 해결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민망할 정도로 쉬운 문제라는 말을 덧붙였다. 쉬운 거라면 좀 더 생각해면 금방 답을 떠올릴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진지하게 생각한지 20초 쯤 지나자 답이 떠올랐다. 그리고 나서 그것 보다는 좀 더 어려운 문제를 봤다. 시간은 몇 분정도 걸렸지만 답을 알 수 있었다. 문제를 낸 사람이 이 문제는 아주 어렵지는 않고 누구나 풀 수 있는 수준이라는 확신을 심어줬기 때문에 더 집중해서 문제를 해결해 낼 수 있었다. 사람들이 크게 자질이 뛰어나지 않지만 큰 성공을 거둔 사람을 롤모델으로 정해서 본받고자 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주가의 변동과 같이 개인의 노력과는 무관한 사안에서 긍정의 힘을 믿는다는 사람은 로또나 열심히 하고 살면 된다.
긍정의 힘이란 부단한 노력을 통해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힘을 뜻한다.
대충 "긍정의 힘을 믿고 투자할 시기" 정도의 내용이었다.
긍정의 힘이란 말이 또 다시 저런 식으로 오용되고 있음을 보고 있으니 헛웃음이 나왔다. 긍정의 힘은 다단계 교재스러운 뜬구름 잡는 자기계발서들로 인해 잘못된 개념으로 알려져 있는 듯 하다.
긍정의 힘은 막연히 잘 될거란 생각만으로 일이 잘되는게 아니다. 할 수 있다는 희망이 중요한 이유는 더 끈질지게 노력할 정신적 기반을 마련해 준다는데 있다.
가장 현실적인 예는 마라톤 기록이다. 불과 백여년 전만 하더라도 인간은 2시간30분 이내에 마라톤을 완주할 수 없다는 믿음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최초로 2시간 30분의 벽을 깬 선수가 등장했고, 현재는 2시간 30분 안에 들어오지 못하하는 선수는 상위권에 랭크될 수 없을 정도로 기록은 단축되었다. 인간의 신체가 백년동안 엄청난 진화를 했을리는 없다. 그리고 세계의 인구 증가를 고려하더라도 현재 2시간 30분 이내에 완주하는 선수의 비율은 너무 크게 높아졌다. 깰 수 없을 것이라는 기록을 깬 선수가 등장하자 다른 선수들도 그 기록을 갱신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고 목표를 높게 잡아 열심히 연습을 했기 때문에 가능한 성과였다.
얼마 전에 즐겨 찾는 블로그의 글을 보고 느낀 바가 있었다.
한 면을 굽는데 10분이 걸리는 스테이크 불판이 2개 있다. 스테이크 3개를 굽는데 걸리는 최소시간 및 그 방법은 무엇인가 라는 물음이 있었다. 단순 계산으로 노는 불판이 없다면 최소시간은 30분이라 짐작할 수는 있었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바로 생각나지 않았다. 그냥 그 정도에서 생각을 접으려고 했다. 글쓴이는 그 문제는 해결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민망할 정도로 쉬운 문제라는 말을 덧붙였다. 쉬운 거라면 좀 더 생각해면 금방 답을 떠올릴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진지하게 생각한지 20초 쯤 지나자 답이 떠올랐다. 그리고 나서 그것 보다는 좀 더 어려운 문제를 봤다. 시간은 몇 분정도 걸렸지만 답을 알 수 있었다. 문제를 낸 사람이 이 문제는 아주 어렵지는 않고 누구나 풀 수 있는 수준이라는 확신을 심어줬기 때문에 더 집중해서 문제를 해결해 낼 수 있었다. 사람들이 크게 자질이 뛰어나지 않지만 큰 성공을 거둔 사람을 롤모델으로 정해서 본받고자 하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주가의 변동과 같이 개인의 노력과는 무관한 사안에서 긍정의 힘을 믿는다는 사람은 로또나 열심히 하고 살면 된다.
긍정의 힘이란 부단한 노력을 통해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는 힘을 뜻한다.